《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 (김현미, 2014)
이주는 삶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행위
이가원 | 유엔인권정책센터 활동가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의 저자 김현미 교수는 한국으로 오는 이주 노동자, 이주 여성, 난민 등을 복잡다단한 목적을 가지고 자기 삶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행위자로 바라본다. 반면 한국사회가 어떻게 이주민 개개인의 가능성과 특성을 삭제하고 집단적 정체성을 부여하여 차별과 배제를 당연시하는지를 드러낸다.
저자는 이주자에게만 적응과 변화를 요구하는 한국의 ‘다문화 담론’을 비판한다. 이른바 ‘사회통합’은 흔히 이주자를 주류 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소외나 사회적 불안 등과 같은 갈등 상황을 줄여나가는 것을 의미한다지만, 저자에 따르면 한국의 다문화 담론은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분리나 위계를 전제하여 이주민의 일방적인 동화만을 주장한다고 한다. 이러한 방식은 결국 이주자의 사회 참여를 제한하고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능동적인 시민 주체가 아닌 한시적인 지원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효과를 낳게 된다.
내가 지금껏 이주를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어쩌면 이 사회가 이주민을 대하는 태도를 내면화한 까닭이 아닐까. 내가 향하고 싶은 그 사회도 별반 다르지 않을 거라는 막연한 두려움은 바로 내가 이 땅에서 누리고 있는 이주민과 선주민의 불평등한 관계에서 시작된 건지 모르겠다. 이주자들이 품을 법한 한국 사회에 대한 호기심, 삶에 대한 기대와 긍정이 지극히 인간적임과 동시에, 한국사회가 다문화라는 이름으로 퉁친 혹은 그 범주에도 속하지 못하는 이들에 가하는 불평등한 영향력은 얼마나 비인간적인가 말이다. 이 책이 나와 같은 두려움을 마주하고 있는 이들에게 그래서 소중하다.
'뉴스V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7.05 제2회 난민영화제, 영화를 통해 난민과 교감하다 (0) | 2023.03.10 |
---|---|
2016.07.05 한국의 공항, 그 경계에 갇힌 난민들 (0) | 2023.03.10 |
2016.06.21 경계에 갇힌 난민들에게 문을 열어라 (0) | 2023.03.10 |
2016.05.31 [칼럼] 인종적․민족적 편견이 불러낸 탁월한 상상력 – 외국인 선원 이해를 위한 한국인 선원 가이드북 어선편 (0) | 2023.03.10 |
2016.05.28 소수자 차별 선동하는 기독자유당에 시민 3천여명 국가인권위 진정 제출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