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01 이주노동자 투쟁투어버스 “투투버스”투쟁선포 기자회견
이주노동자 사업장변경의 자유! 농축산어업 이주노동자 차별철폐! 숙식비 강제징수 지침 폐기!
이주노동자 투쟁투어버스 “투투버스” 투쟁선포 기자회견
일시 : 2018년 5월 1일 오전 11시
장소 : 서울고용노동청 앞
주최 : 민주노총, 이주공동행동, 이주노동자 투쟁투어버스 공동주최단(이주노조, 수원이주민센터, 지구인의 정류장)
순서 :
사회 – 박진우(이주노조 사무차장)
여는 발언 – 우다야 라이(이주노조 위원장)
투쟁발언 – 봉혜영(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
투투버스 참가발언 – 머두수던 오쟈(이주노조 사무국장), 존스 갈랑(오산이주노동자센터)
연대발언 – 임준형(노동자연대)
투쟁선포문 낭독 – 이주노동자 투쟁투어버스 공동주최단
4월 29일(일) 보신각 앞에서 진행되었던 메이데이 집회에 이어, 5월 1일(화), 이주노조, 수원이주민센터, 지구인의 정류장은 이주노동자 사업장 이동의 자유와 농축산어업 노동자 차별 철폐를 위한 이주노동자 투쟁 투어 버스 “투투버스”투쟁을 선포하는 기자회견을 서울고용노동청 앞에서 가졌다.
박진우 이주노조 사무차장은 “128년전 시작된 노동절이지만 아직도 이주노동자들은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이주노동자들의 요구사항들을 들고 내일부터 각지역의 노동지청과,고용센터, 사업장들을 찾아가 아직 이주노동자들의 문제에 대해 모르고 있는 시민들과 고용센터 직원들, 공무원들을 만나 강력한 항의를 전달하겠다”며 굳은 의지로 기자회견을 시작하였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우리가 기계를 만든다고 우리를 기계로 보지 말라, 선배노동자들이 투쟁한지 128년이 지났지만 아직 노동자들의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우리가 원하는 것은 대단 한 것이다. 최소한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해 달라. 인간다운 대우를 해 달라 라는 것이다. 우리도 제대로 된 기숙사에 살 권리, 제때 월급을 받을 권리, 좋은 사업장에 일 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라고 전하였다.
이어 봉혜영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은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지 30년이 지났다. 심각한 문제가 많았던 산업연수생제도가 폐지되고 고용허가제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강제노동,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으며, 폭행과 폭언이 비일비재하며, 온전한 급여도 받지 못하고 있다. 또 사업장을 스스로 옮길 수 도 없다. 자유롭게 일할 권리조차 없는 이주노동자의 현실을 목도하고도 현행대로 둔다면, 이것은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고 있지 않은 것이다. 그러기에 사업장 이동을 금지하는 고용허가제를 폐지하고 노동허가제를 도입해야 한다.” 고 강조하였다.
머두수던 오쟈 이주노조 사무국장은 “이주노동자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일 하고 있으며 많은 노동자들이 자살을 하고 있다. 어제도 한 네팔동지가 자살을 하였다. 고용허가제에서는 사업장 변경의 자유가 없고, 변경을 원할 경우 500만원 이상의 돈을 요구하는 사업장, 너희 나라로 보내버린다 라고 협박하는 사업장들도 있다. 투투버스가 많은 노동자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라며, 정부가 우리의 요구를 받아들여 주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오산이주노동자센터의 존스 갈랑씨는 “정부가 지금 E-7비자를 시행하고 있으면서 왜 노동허가제를 시행하고 있지 않는 것인가. 정부를 이주노동자의 문제를 부정 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 이주노동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절실하다. 또한, 정부가 강제로 사업주가 숙식비를 징수하게 하고 있는 지침을 폐기할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모든 발언자들은 입을 모아 128년이 흐른 지금도 변화된 것이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였다. 내일부터 시작되는 투투버스를 통해 이주노동자 사업자 이동의 자유를 쟁취, 농축산어업 노동자들의 차별 철폐, 이주노동자 숙식비 강제 징수 지침 폐기등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이주노동자들이 받고 있는 차별과 비인권적인 상황들에 대한 문제들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길 바란다.
사진·글 | 한지희